본문 바로가기
해외뉴스

카스트라토, 거세된 소년 가수들의 음악과 아픔

by 꼬미팍 2024. 4. 16.

카스트라토의 비극적인 역사를 바라보며, 우리는 그들의 고충과 당시 사회의 잘못된 가치관을 깊이 있게 성찰해야 합니다. 이들은 소년 시절 고의로 거세되어 성인이 되어서도 고음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그 대가로 많은 고통을 겪어야 했습니다.

 

유명 카스트라토 패리넬리는 스페인 왕을 위해 노래하며 왕의 우울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대다수의 카스트라토들은 빈곤과 무명 속에서 고통받았고 비정상적인 신체 발달, 골다공증, 우울증 등의 부작용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당시 음악계에서는 이들의 독특한 목소리를 선호했지만, 그 이면에는 권력 구조, 종교적 규제, 불평등한 사회적 조건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이들을 '장애인'이라고 비웃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들의 성적 능력에 대한 소문이 무성했습니다.

영화 파리넬리의 한 장면

 

가장 유명한 카스트라토 세네시노와 패리넬리는 뛰어난 노래 실력으로 많은 부를 축적했지만, 대부분의 카스트라토들은 비참한 삶을 살아야 했습니다. 18세기 거세가 금지되면서 카스트라토는 점차 사라졌지만, 그들의 아픈 역사는 고대 음악 연구와 인권 문제의 연구 대상이 되었습니다. 카스트라토의 존재는 음악사와 인권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우리에게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적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깁니다. 비록 카스트라토는 사라졌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여전히 우리에게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카스트라토는 주로 가톨릭교회의 종교법에 의해 생겨났습니다. 중세 암흑시대의 기독교는 종교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예술 전반을 지배했으며, 여성이 교회에서 큰 소리로 노래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카스트라토가 성가대에서 활약하게 되었고, 많은 작곡가들이 카스트라토를 위해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특히 유명 카스트라토 파리넬리는 스페인 왕실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카스트라토의 존재는 당시 가톨릭교회의 종교법과 규제, 그리고 불평등한 사회적 조건을 반영하는 것이었습니다.

 

교회는 1589년 교황 시스투스 5세의 교황 법령을 통해 카스트라토를 성가대에 편입시켰지만, 이는 교회법상 금지된 신체 절단 행위에 해당했습니다. 결국 카스트라토는 종교와 음악, 그리고 인권의 교차점에 서 있었던 복잡한 역사적 산물이었습니다.